Raid는..
위키에는 (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혹은 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)로 여러개의 디스크에 일부 중복된 데이터를 나눠서 저장하는 기술이다.
* 그냥 여러개 디스크 묶어쓰기..
Raid 레벨..
여러개의 디스크를 어떻게 묶어 쓰느냐에 따라 레벨이 나눠지며 성능, 안정성도 나눠진다.
RAID0 (striping)
성능 > 안정성
디스크를 병렬적으로 사용하면 I/O성능이 좋아지는데 여러개의 디스크를 전부 병렬적으로 사용
N개의 디스크중 하나만 고장나도 데이터 망실. 최소 2개 디스크
RAID1 (mirroring)
성능 < 안정성
RAID0과는 정반대로 여러개의 디스크를 전부 백업처럼 사용
동일한 데이터를 N개 디스크에 저장, 쓰기속도 느림. 최소 2개 디스크
RAID01 (striping > mirroring)
RAID0한 후 RAID1. 동일한 데이터를 나눠담고, 나눠담은 디스크를 미러링. 최소 4개 디스크
* 디스크고장으로 복구시 RAID0으로 묶인 그룹 전체를 데이터 복구 진행
RAID10 (mirroring > striping)
RAID1한 수 RAID0. 데이터를 미러링 하고, 나눠담기. 최소 4개 디스크
* 디스크 고장으로 복구시 손실된 데이터만 RAID1로 묶인 디스크를 통해 복구 진행
RAID4, RAID5, RAID6
고정된 parity 디스크를 하나 할당해 에러 검출. 최소 3개 디스크
에러 검출할 parity를 각 디스크에 뿌림. 최소 3개 디스크
RAID5에 안정성+. 방식은 RAID5와 동일하지만 parity를 2개의 디스크에 저장. 최소 4개 디스크
개인적으로 RAID10이 제일 좋아보임 안정성이랑 성능도 두루두루챙긴..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ifconfig mtu값 바꾸기 (0) | 2024.06.10 |
---|---|
[Linux] FOR반복문 (0) | 2024.05.30 |
[Linux] /etc/network/interfaces 예시 (0) | 2024.05.15 |
[Linux] nagios plugins Can't locate utils.pm in @INC (1) | 2023.12.28 |
[Linux] error while loading shared libraries: libncurses.so.5 (0) | 2023.11.09 |